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회복지실천의 새로운 관점 : 사회구성주의에 대해 알아보자

by Joyya-owner 2024. 3. 20.
반응형

 

 

 

 

 

 

 

 

 

 

사회구성주의 출현배경과 사회구성주의와 기본시각 및

사회구성주의와 사회복지실천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자

 

 

 

 

 

 

1. 사회구성주의 출현배경

 

1) 사회구성주의 출현 이전 사회복지계의 학문적실천적 특성

 

1915년에 전문 교육의 권위자인 에이브러햄 플렉스너(Abraham Flexner)

사회복지실천 영역은 실천을 안내하는 고유 지식체계를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전문직으로 인정받을 수

다고 선언하는 사건이 있었음

 

 

 

그의 지적에 자극을 받은 당시 사회복지 실천 관계자들과

학자들은 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이론적 모델을 찾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사회복지실천 영역은

사회복지실천 행위를 안내하는 이론으로서

프로이트의 심리역동이론(psychodynamic teory)을 받아들였음

- 이 이론의 영향력은 1960년대 말까지 지속되었음

 

 

 

또한 사회복지실천 영역에서는 실천활동에 전문적

과학적 속성을 더하기 위해 지식 철학적 기반으로

논리적 실증주의를 수용하였음

 

 

 

- 논리적 실증주의란 지식을 축적하는 과정에서

관찰 측정 검증을 중시함으로써 누구에게나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객관적 지식을 강조하는 것임.

 

 

 

- , 지식은 객관적 실체로서 어딘가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우리와 관계된 현상을 객관적인 눈으로 관찰하고,

정확한 도구를 동원하여 측정하려 하면 그 실체가 드러나면서 누구에게나

동일한 모습으로 정확히 발견될 수 있다는 것임

 

 

 

- 논리적 실증주의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교육과 실천에서 1950년대에 이르러 확실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고,

1970년대 중반까지 흔들림 없이 유지되었음(Redwell, 1998).

 

 

 

 

썸네일

 

 

 

 

 

 

 

 

 

 

 

 

2) 사회구성주의 출현

 

19701980년대 초반에 사회복지의 인접 학문인 사회학,

교육학, 심리학 등의 전문영역에서

논리적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이 일기 시작했음

 

사회복지 전문직 안에서도 여러 학자들

(Austin, 1978; Beckerman, 1978; Fischer, 1981;

Heineman, 1981; Hudson, 1983; Imre, 1984)

사이에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논리적 실증주의의 유용성을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음

 

 

일부 학자들(: Heineman, 1981; Imre, 1984)은 복잡한

사회현상과 다양한 개인 문제들을 다루는 사회복지실천 활동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 개인이 갖고

있는 동기나 의지와 가치 그리고 개인이 처한 복잡하고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 따라 개입의

효과는 얼마든지 달라질수 있다는 점,

개인에 따라 자신의 문제와 환경을 각자 다르게 인식

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들어 논리적 실증주의 관점이

과연 사회복지실천의 길잡이로서 적합

하고 유용한 것인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하였음

 

 

 

사회복지 전문직과 관련 인접 학문영역에서 벌어진

이러한 논쟁은 관심 대상 현상의 본질

에 대한 가정과 관련되어 있음

 

 

- 현상의 실체는 어딘가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인가?

- 개인 인식의 산물인가?

 

- 지식은 실재적이고 변함이 없으며 명백하고

확실한 형태로 전수 가능한 것인가?

 

 

- 개인적으로 경험되고 습득되는 유연하고 주관적이며 영적인

요소를 내포한 고유성을 지니고있는 것인가?

 

 

- 인간은 주변 환경에 대해 기계적으로 정해진 방법으로 대응하는가?

 

- 자유 의지를 갖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환경과 관계하면서

나름대로의 환경을 구성해 가는?

 

 

위의 질문들에 어떻게 응답하는지에 따라 사회복지실천의 방법이 달라질 수 있을 것임

 

 

 

 

 

 

 

 

 

- 실증주의 패러다임

 

사회적 현상이 객관적 실체로서 존재하며, 누구에게나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지식의 형태로 발견될 수 있음

 

 

그러한 지식에 기초하여 인간은 주변 환경에 대해

일반화된 반응을 보일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을 것임

 

 

 

- 사회구성주의 패러다임(=해석주의 패러다임)

 

현상의 실체는 개인 인식의 산물이며 지식은

개인적 주관적 영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음

 

 

인간은 나름대로의 창의적인 방법으로 그들의

주변 환경과 교류한다고 믿고 있음

 

 

사회구성주의는 해석주의 관점에 바탕을 둔 것이라 할 수 있음

 

 

 

 

 

 

 

 

 

 

2. 사회구성주의와 기본시각

 

 

사회구성주의자는 우리가 세계의 실체라고 알고 있는 것은

실재로서 엄연히 존재하는 객관적 실체가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우리가 만들어 낸 것이라는 것이라고 봄

 

 

우리는 주로 언어라는 수단을 통해

우리 주변의 세계를 묘사하거나 만들어 냄

 

- 그런데 이 언어는 바로 실체가 아니라 실체를 표현하는

하나의 도구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분명히 해야 함

 

 

- 실체를 나타내는 유일한 언어 표현은 존재하지 않으며

다양한 언어 표현이 나름의 효용성을 가질 뿐임

 

따라서 사회구성주의 입장에서는 사회현상이나 상황과 관련된 절대적인 진리나

객관적 실체가 존재하지 않음(Gergen, 1999: 35-57)

 

 

사회현상이나 상황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것에 대한 묘사나 구성의 내용이 중요하며 그렇게 구성되고

경험된 속성이 진정한 의미에서 실체이자 진리라는 것임

 

 

- 하지만 이 진리는 유일한 진리가 아니라 특정 상황과

관련된 다양한 진리들 중 하나일 뿐인 것임

 

 

-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진리가 동일하게

존중받아야 한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이 중 요할 뿐임

 

이러한 구성이 개인 혼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음.

우리 모두는 사회 속에서 관계를 맺고 살아가기 때문임

 

 

우리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된

우리 자신의 신념, 전제, 전통, 규범 등의 렌즈를 통해 현실을 구성함

 

 

- 즉 주변 사람과 함께 공동으로 구축한 인식의 여과 장치를 갖고

어떤 현상을 마주 대하게 된다는 것임

 

 

- 따라서 삶의 경험은 우리에게 있는 그대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관계 속에서 공동으로 구성된다는 것임

 

 

 

 

- 이것이 바로 사회구성(social constru클라이언트ion)의 개념임

 

사회구성주의는 크게 봐서 두 차원의

언어적 대화와 관계된다고 봄(Gergen, 1999).

 

 

- 하나는 지식, 이성, 미덕 등 사회에서 당연시되는 것들이

애초에 어떻게 해서 형성된 것인지를 파헤치는 대화

 

 

이러한 대화는 기존의 당연시 여겨지는 것들

(: 신장애, 문제아동, 해체가정 등에 대한 정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부추기는 것임

 

 

 

- 다른 하나는 사회적으로 당연시되는 것들

(지식, 이성, 미덕 등)에 바탕을 두고 만들어지고

유지되는 각종 실천 및 서비스들의 내용이 과연

괜찮은 것인지 살펴보는 대화임

 

 

 

후자의 대화는 기존의 실천이나 서비스와는 다른

대안적 실천이나 서비스를 생각해 내는 것임(Witkin, 2012).

 

 

 

Ÿ 사회구성주의는 지식을 역사적 ,  문화적 ,  사회적 조건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간주함

 

 

- 무엇이 진실이고 거짓인지를 분간할 수 있는 절대적이며,

모든 것을 초월하는 기초(기반)는 없다고 봄.

 

 

- 현재 시점에서 당연시 여겨지는 지식

(: 현실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이분법적 분

류로서 다문화가족-단일문화가족’, ‘남성성-여성성)

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것을 요구함

 

 

 

- 예로

클라이언트에 대해서 또는 빈곤이나 범죄와 같은 사회문제의 원인들에 대해서,

인간의 변화능력 등에 대해서,

인간과 환경 간 관계에 대해서 세상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명시적 또는

시적 믿음체계 등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것을 요구함

 

 

 

 

Ÿ 사회구성주의는 지식을 사회 행동(social a클라이언트ion)의 한 형태로 봄

- 지식을 다르게 구성하면 다른 종류의 사회 행동이

가능하며 정당화될 수 있음

 

 

Ÿ 지식은 특히 언어를 통한 사회적 합의과정을 통해 유지됨

- 사회가 조직화되고 제도화되는 방식에 따라

우리가 아는 것이 다르게 구체화됨

 

 

 

 

3. 사회구성주의와 사회복지실천의 연관성

 

 

Ÿ 사회복지실천에 매우 중요한 함의를 제공함

 

Ÿ 그 이유는 우리와 타인이 경험하는 현실, ‘

세계 만들기과정에 우리 사회복지사들이 참여

할 수 있기 때문임

 

 

 

 

 

 

 

 

 

 

 

1) 대안적 의미 생성에 참여

 

Ÿ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클라이언트가

자기 자신에 대해서 또는 자기 가족이나

변에 대해서 기술하는 내용은 클라이언트 밖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실체에 대한 (객관적)

기술이 아니라 많은 다양한 현실 버전(version) 가운데

하나의 현실 버전을 보고하는 것임

 

 

 

Ÿ 예를 들어, 한 아동의 어머니가

우리 아이는 정말 문제아입니다.”라고 말했다고 할 때,

것은 아들이 실제로 문제아라는 객관적 사실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아들에 대한 여러 가지

다양한 관점 중 한 종류의 관점을 말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됨

 

 

 

Ÿ 사회구성주의 실천가는 어머니에게 그것이 사실입니까?”라고

묻기보다는 어머니가 자녀를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

어머니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해 본 후

(아들에 대한) 대안적 의미를 생성해 내는 것이 가능한지를 살펴보는 것임

 

 

Ÿ 이것은 사회가 클라이언트를 규정하는

언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됨.

 

 

- 사회의 지배적 담론에 의해 정당화된

이름 붙이기(labeling)’와 그에 기초한 배제나 억압으로 인해

불이익을 당하는 사람들에

대해 대안적 담론과 실천 비전을 제시할 수 있음

 

 

- 사회구성주의 사회복지실천가는 사회 내 지배적

담론의 권위를 당연시하기보다는 그것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 대안을 제시하려고 노력해야 함

 

 

 

2) 맥락 안에서 클라이언트의 믿음체계 이해

 

Ÿ 사회구성주의 실천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역사 문화 사회적 맥락 안에서 클라이언트의

믿음체계를 이해할 것을 요구함

 

 

 

Ÿ 맥락에 대한 이해와 인식 역시 구성의 산물로

간주되기 때문에 객관적 맥락 현실을 드러내려 하기 보다는

클라이언트가 제시한 맥락 현실 인식이 문제해결을 위해

얼마나 유용한 것인지에 초점을 둠

 

 

 

 

3) 평등한 관계 안에서 대화를 통한 사회구성

 

Ÿ 사회구성주의 사회복지실천가는 클라이언트보다

우월한 입장에서 클라이언트를 이끌어 가는 전문가가 아니라,

클라이언트가 새로운 통찰력을 갖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함

 

 

- 여기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 평등관계가 중시됨

 

Ÿ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대화 참여자 개개인이 상대방의

관점을 존중하면서 서로 대화를 통해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 속에서 그들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사회적 구성에

합의하 도록 이끄는 것임

 

 

 

 

4)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대화 과정을

통한 개입 방안의 도출

 

 

Ÿ 개입 방안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지식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라 협동작업을 통해

성된 현실 내용으로부터,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

상호 합의로부터 나오는 것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음

 

 

Ÿ 문제 상황의 정의 또는 문제를 확인하는 모든 과정에서

다양한 가치와 관점을 갖고 있는 모든 이해 당사자가 관여해야 함

 

 

Ÿ 이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는 통제자나 조정자로서의

역할이 아닌 협력자로서의 자세를 취해야 함

 

 

 

 

5) 다양한 의견과 가치체계를 의식하고 소중히 여김

 

Ÿ 사회구성주의 시각에서는 가치가 배제된

이론이나 실천은 없다고 봄

 

 

Ÿ 사회구성주의 실천에서는 가치를 명확히 드러내고

그것이 어떻게 실제의 삶 속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을 선호함

 

 

Ÿ 이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과 관점들이 소중히

다루어지며 배움의 원천으로 활용됨

 

 

Ÿ 사회구성주의 사회복지실천가는 귀담아들을 만한

귀중하고 다양한 관점들을 사회 취약계층이 소유하고 있다고

믿고 이것을 배우고자 하는 자세를 취하게 됨

반응형